대학원

교과목소개

교과목명 및 교과목 해설

교과목 목록 및 해설
교과목명 교과목 해설
유아교육론
(Theory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유아교육의 역사적, 철학적, 사회적, 심리학적 이론에 기초하여 유아교육의 전반적인 분야를 이해하고자 한다.
영·유아보육연구
(Child care studi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영유아 보육의 기능과 중요성, 세계적인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양질의 보육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교육적 환경, 정책지원, 교사역할 등을 탐구한다.
영·유아발달연구
(Infants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영유아 발달에 관한 제 관점과 이론을 살펴봄과 동시에 발달이론이 담고 있는 함축적 의미를 비판적 시각으로 탐구해 봄으로써 현장 적용의 교육적 적용점을 살펴본다.
유아놀이연구
(Play for young children)
놀이에 관한 이론 및 최신연구에 기초하여 유아교육기관에서 수준별 학습을 위한 놀이환경에 대해 학습한다. 또한 놀이를 지도하는데 필요한 환경 구성 및 교수학습 방법에 관한 이론과 교육적 함지를 탐구한다.
유아교육세미나 및 연구동향
(Recent research trend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유아교육분야에서의 최근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그 적용 가능성에 대해 모색해본다.
가족지원과 부모교육
(Family support and parent education)
부모참여와 부모교육 및 가족지원과 관련된 프로그램을 검토·개발해 보고 현장에서의 실천과 연결시켜본다.
영·유아교사연구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영유아교사의 전문성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의 이론과 연구, 실제 사례의 조사·연구를 통해 예비유아교사와 현직유아교사를 위한 교사교육, 장학, 교육정책 등을 검토하고 개선방향을 알아본다.
유아사회교육연구
(Social studie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유아교육기관에서 사회-정서영역의 학습을 지도하는데 필요한 내용 및 방법을 학습하고 관련 연구동향을 살펴본다.
유아관찰 및 평가연구
(Observation and evalu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관찰법을 통해 영유아의 발달특징과 교수학습과정을 연구하며 관찰결과를 다시 교육과정계획운영이 평가에 반영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한다.
유아문학교육연구
(Literature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유아 문학의 역사적 배경, 세계적 동향을 알아보고 유아 문학과 관련된 최근 연구 동향과 교육적기능에 대해 탐구한다.
유아수과학연구
(Mathematics and science for young children)
유아 수, 과학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이론을 살펴보고, 아동 발달에 적합한 수, 과학교육 방법과 내용을 학습함으로써 실제로 수, 과학교육 활동을 개발, 실시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또한 유아 수, 과학분야에서의 최근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적용 방안을 탐구한다.
유아인지교육연구
(Cognitive theories for young children)
유아의 인지발달에 대한 이론과 인지과정에 대해 학습하고, 유아의 인지발달 단계에 적합한 수준별 교수·학습방법을 연구하여 현장에 적용해 본다.
유아교육기관 운영관리 세미나
(Administration and supervision in early childhoodeducation)
유아의 인지발달에 대한 이론과 인지과정에 대해 학습하고, 유아의 인지발달 단계에 적합한 수준별 교수·학습방법을 연구하여 현장에 적용해 본다.
유아교육철학 및 사조연구
(Philosophical trend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교육전반에 관한 철학적 이해를 기초로 현대 유아교육프로그램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아동교육사상을살펴본다. 또한 유아교육사상가들의 이론이 유아교육현장에 미친 영향을 현장 관찰을 통해 분석·평가한다.
유아교육개인연구
(Independent study)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각자가 선택한 주제에 대하여 자기주도적인 학습을 진행한다.
유아교육연구의 양적접근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양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유아를 연구하는 방법에 대해 이해하고 양적 연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실제적인 지식과 기술을 습득한다.
유아교육연구의 질적접근  
영·유아교수이론 및 실습
(Teaching strategies and methods for infants and toddler)
영유아교수방법에 대한 다양한 이론에 대해 살펴보고 영유아의 전인적인 발달을 극대화할 수 있는 교수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영·유아프로그램연구
(Early child care program development and evaluation)
영·유아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하는데 필요한 발달이론, 교육과정계획, 운영 및 평가 원리, 교사의 역할, 환경구성에 대해 학습한다. 또한 영·유아에 적합한 교육환경을 개발하고 적용 평가하는 과정을 통해서 영·유아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도모한다.
특수영유아교육연구
(Education for special children)
교사가 유아교육기관에 들어오게 되는 특수 유아의 문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다룰 수 있도록 적절한 교수방법을 모색해 보고, 일반유아와의 통합적 교수-학습 이행 능력을 고취한다.
유아다문화교육연구
(Multicultur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다문화 환경에서 살아가는 다양한 유아들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그들을 도와줄 수 있는 교육적인 배려와 교수방법을 모색한다.
영유아예술교육연구
(Art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영·유아를 위한 음악, 미술을 포한한 다양한 예술 활동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예술교육이 영·유아의 전인적 발달과 인간성 함양에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현장에 적용해본다.
유아교육 멀티미디어연구
(Studies in multimedia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유아를 위한 멀티미디어 교육에 대한 이론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컴퓨터, 비디오, 오디오, 인터넷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교육에 적용하는 방안을 탐색한다.
영유아교육 및 보육정책 세미나
(Seminar on the polic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영·유아 교육 및 보육과 관련된 정부의 최근 정책 및 선진국의 동향을 살펴보고, 유아교육에의 시사점을 모색한다.
유아 창의성 연구
(Creativit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창의성 관련 문헌 및 유아기 창의성 발달의 특성을 이해하고 유아교육기관에서 창의성 교육을 위한 방법을 모색한다.
유아 언어교육 연구
(Language ar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유아 언어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이론과 최근 동향을 살펴보고 이를 유아교육 현장에 적용해 봄으로써 유아에게 적합한 언어교육 교수법을 개발할 수 있는 교사로서의 능력을 기른다.
유아교육과정 세미나
(Curriculum seminar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유아교육과정의 철학적, 사회적, 심리학적 배경을 살펴보고 현재 운영되고 있는 교육과정을 분석 검토해 봄으로써 유아교육과정의 재개념화를 시도해 본다.
TOP